데스크테리어

게이밍 PC, 램(RAM)은 몇 개가 정답일까? 16GB vs 32GB vs 64GB 게임 성능 전격 비교!

메모 플래닛 2025. 8. 21. 13:15
반응형

안녕하세요! PC 하드웨어와 게임 성능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드리는 IT 블로거입니다.

새로운 PC를 맞추거나 업그레이드를 고민할 때, CPU나 그래픽카드만큼이나 신경 쓰이는 부품이 바로 **램(RAM)**입니다. "램은 많을수록 좋다"는 말을 '다다익램'이라고도 하죠. 하지만 정말 그럴까요? 특히 게임 환경에서 램 용량과 구성은 성능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오늘은 16GB 램 1개, 16GB 2개(32GB), 16GB 4개(64GB), 그리고 32GB 2개(64GB) 등 다양한 램 조합이 실제 게임 성능에 어떤 차이를 만들어내는지 심층적으로 분석한 유튜브 영상을 바탕으로 명쾌하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DDR5 시대의 함정, '풀뱅크'는 무조건 좋을까?

먼저 알아둬야 할 중요한 사실이 있습니다. 최신 DDR5 램의 경우, 4개의 램 슬롯을 모두 채우는 이른바 '풀뱅크'(예: 16GB 4개) 구성 시 오히려 램 클럭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CPU 메모리 컨트롤러나 메인보드 바이오스 버전에 따라 다르지만, XMP(고성능 오버클럭) 적용이 안 되거나 클럭이 자동으로 낮아져 제 성능을 발휘하지 못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무작정 4개를 꽂는 것이 정답은 아니라는 것이죠.

게임별로 천차만별! 실제 RAM 사용량의 비밀

  • 몬스터 헌터: 고사양 게임인 몬스터 헌터를 QHD 해상도, 높은 옵션으로 플레이했을 때 실제 램 사용량은 15GB 내외였습니다. 이는 윈도우 운영체제가 시스템 자원에 여유를 두기 위해 가용 램이 많을수록 더 많은 메모리를 점유하기 때문입니다. 흥미롭게도 이 게임에서는 램 클럭 차이가 실제 게임 프레임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대부분의 부하가 그래픽카드에 집중되기 때문입니다.
  • 배틀그라운드: 반면, 배틀그라운드에서는 다른 결과가 나타났습니다. 특히 비행기에서 강하하거나 다수의 폭죽이 터지는 등 오브젝트가 급증하는 특정 구간에서 16GB 단일 램 구성이나 클럭이 낮은 풀뱅크 구성 시 심각한 프레임 드롭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이는 순간적으로 필요한 램 용량이 부족하거나 낮은 램 클럭이 발목을 잡아 안정적인 플레이를 방해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결론: 용도에 맞는 최적의 RAM 조합은?

1. 오직 게임만을 위한다면? -> 16GB x 2개 (총 32GB)가 정답!

현재 대부분의 게임 환경에서는 32GB 용량이면 충분하며, 오히려 높은 클럭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6GB 램 두 개를 듀얼 채널로 구성하여 높은 클럭으로 사용하는 것이 순간적인 프레임 드롭을 막고 가장 안정적인 게이밍 환경을 제공하는 '가성비'와 '성능'을 모두 잡는 최적의 조합입니다.

2. 영상 편집, 3D 렌더링 등 전문 작업도 함께한다면? -> 32GB x 2개 (총 64GB) 이상

영상 편집이나 3D 모델링 같은 전문 작업은 램 용량이 많을수록 작업 효율이 크게 올라갑니다. 이 경우에는 게임 성능보다는 작업의 안정성과 속도가 우선이므로, 클럭 저하를 감수하더라도 64GB 이상의 고용량으로 구성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3. 이런 조합은 피하세요!

  • 16GB x 4개 (풀뱅크): 앞서 설명했듯, DDR5 환경에서는 클럭 저하 문제로 게임 성능에 오히려 손해를 볼 수 있어 추천하지 않습니다.
  • 8GB x 2개: 당장은 괜찮을 수 있지만, 고사양 게임을 즐기거나 나중에 업그레이드를 고려할 때 애매한 용량이 될 수 있습니다. 차라리 16GB 1개로 시작했다가 나중에 16GB를 추가하여 32GB 듀얼 채널로 구성하는 것이 현명한 선택입니다.

핵심 요약: 현재 시점에서 게임이 주 목적이라면 **'16GB 램 2개로 32GB 듀얼 채널 구성'**이 국민 조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램 용량을 무작정 늘리기보다는, 그 비용을 그래픽카드나 CPU에 투자하는 것이 게임 성능 향상에 훨씬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점도 꼭 기억하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7Ww8Edsb7N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