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 컬쳐

"공동명의는 미친 짓" 결혼 전문가가 절대 하지 말라고 경고하는 이유 (ft. 강남 아파트 뺏긴 사연)

메모 플래닛 2025. 8. 25. 08:47
반응형

 

안녕하세요.

"내 집 마련하면 당연히 부부 공동명의 해야지!" 많은 분들이 사랑의 증표이자 절세 효과까지 있는 공동명의를 당연하게 생각합니다. 하지만 결혼 전문가 '한방언니'는 최근 유튜브에서 **"공동명의는 죽음으로 가는 길, 미친 짓"**이라며 아주 강력한 경고 메시지를 날려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물론 공동명의의 장점도 있습니다. 하지만 달콤한 말 뒤에 숨겨진 치명적인 위험성을 제대로 알지 못하면, 내 모든 것을 잃게 될 수도 있다고 하는데요. 오늘은 그녀가 밝힌 공동명의의 소름 돋는 진실과 실제 피해 사례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 배우자의 배신, 그래도 재산은 '반반'

가장 충격적인 위험성은 '이혼 시 재산분할' 문제입니다.

영상에 소개된 한 남성은 아내의 외도로 이혼하게 되었습니다. 귀책사유는 명백히 아내에게 있었죠. 하지만 결혼 당시 사랑의 증표로 해두었던 강남의 아파트가 '공동명의'였기 때문에, 법적으로 재산의 절반을 아내에게 떼어줄 수밖에 없었습니다. 억장이 무너지는 상황이지만, 공동명의라는 서류 한 장 앞에선 속수무책이었습니다.

2. 부모님 피눈물 흘리게 하는 '최악의 시나리오'

더욱 끔찍한 상황은 부모님이 사주신 집을 공동명의로 했을 경우입니다.

아들을 위해 25억 원짜리 집을 사주신 부모님이 있었습니다. 당연히 아들 며느리가 행복하게 살길 바라는 마음이었겠죠. 하지만 얼마 못 가 며느리의 문제로 이혼하게 되었고, 며느리는 공동명의를 근거로 12억 원을 당당하게 챙겨 나갔습니다.

결국 아들의 잘못된 선택 하나가, 평생 고생하며 모은 부모님의 재산까지 한순간에 날려버리는 최악의 결과를 낳고 만 것입니다.

3. '명의'는 같이, '빚'은 나 혼자

"대출은 남편이 갚고, 명의만 공동으로 하자"는 달콤한 말에도 함정이 숨어있습니다.

대기업에 다니는 남편과 프리랜서 아내 부부의 사례입니다. 남편의 신용으로 대출을 받아 집을 사고 공동명의를 했지만, 아내의 사치로 빚이 눈덩이처럼 불어났습니다. 결국 이혼에 이르렀을 때, 법적으로 모든 빚은 대출 명의자인 남편이 떠안게 되었습니다. 명의는 공동이었지만, 빚은 오롯이 혼자의 몫이 된 것입니다.

결론: 공동명의, 언제 해야 할까?

그렇다면 공동명의는 절대 하면 안 되는 걸까요? 한방언니는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합니다.

"결혼 후 최소 15년 이상, 아이 낳고 잘 산 후에 그때 가서 고려해라."

결혼은 현실입니다. 사랑이라는 감정만 앞세워 섣불리 공동명의를 했다가는 내 인생은 물론, 부모님의 인생까지 망가뜨릴 수 있습니다. 영상의 조언처럼, 상대방의 실체를 충분히 파악하고 오랜 시간 신뢰를 쌓은 후에 결정해도 절대 늦지 않습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UdZN6hPCUm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