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지방 소멸', '인구 절벽'이라는 말이 더 이상 낯설지 않은 시대입니다. 우리나라 전체 인구가 줄어드는 상황 속에서, 과연 10년 뒤에도 변함없이 활기차고 살기 좋은 도시는 어디일까요?
최근 한 유튜브 영상에서 객관적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10년 후에도 살기 좋은 도시 TOP 10'을 선정해 화제가 되고 있어, 그 내용을 알기 쉽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 이 포스팅은 유튜브 채널 'LHUxGXmftJk'의 영상 내용을 요약 및 재구성한 것입니다.)
어떤 기준으로 선정했을까? 5가지 핵심 지표
이번 순위는 단순히 인구수나 아파트 가격이 아닌, 도시의 '미래 성장 잠재력'을 보여주는 5가지 핵심 지표를 종합하여 선정되었습니다.
- 인구 증가율: 얼마나 많은 사람이 계속 유입되는가?
- 청년 인구 비율: 도시의 활력을 책임질 젊은 세대는 충분한가?
- 지역 내 총생산(GRDP) 증가율: 경제가 활발하게 성장하고 있는가?
- 고용률: 안정적인 일자리가 풍부한가?
- 재정 자립도: 정부 지원 없이 스스로 살림을 꾸릴 수 있는가?
이 까다로운 기준들을 통과한 미래 도시 10곳을 지금 바로 공개합니다!
10년 후에도 살기 좋은 도시 TOP 10
10위. 오산시 (경기도) 높은 청년 인구 비율을 바탕으로 꾸준히 성장하는 교육 도시
9위. 시흥시 (경기도) 신도시 개발로 수도권 서남부의 핵심으로 떠오르는 도시
8위. 이천시 (경기도) SK 하이닉스를 중심으로 한 반도체 산업 생태계가 튼튼한 도시
7위. 아산시 (충청남도) 삼성 디스플레이 등 대규모 산업단지가 젊은 인구를 끌어들이는 도시
6위. 하남시 (경기도) 대규모 신도시 개발로 폭발적인 인구 증가를 기록한 도시
5위. 인천광역시 송도, 청라 등 경제자유구역을 중심으로 국제 비즈니스 도시로 성장하는 곳
4위. 서울특별시 인구는 줄고 있지만, 압도적인 인프라와 재정 자립도를 자랑하는 대한민국 수도
3위. 과천시 (경기도) 지식정보타운과 재건축으로 제2의 도약을 준비하는 도시
2위. 평택시 (경기도) 삼성전자 반도체 캠퍼스가 도시 전체의 성장을 이끄는 명실상부 대한민국 반도체 수도
1위. 화성시 (경기도) 동탄신도시, 삼성전자, 현대기아차 등 모든 것을 갖춘, 현재 대한민국에서 가장 역동적으로 성장하는 도시
결론: 미래 도시의 핵심 키워드는 '양질의 일자리'
TOP 10 리스트를 살펴보면 한 가지 공통점이 보입니다. 바로 **'양질의 일자리를 중심으로 젊은 인구가 모여드는 도시'**라는 점입니다.
결국 인구가 감소하는 미래 사회에서 도시의 경쟁력은 대기업, 첨단 산업 등 좋은 일자리를 얼마나 많이 만들어 내고, 젊은이들을 끌어모을 수 있느냐에 달려있다는 것을 명확하게 보여줍니다.
여러분이 살고 있는 도시는 목록에 있나요? 10년 뒤 우리 동네는 어떤 모습일지 함께 상상해 보면 좋겠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LHUxGXmftJk
'소셜 컬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혼, 왜 남자만 손해 봐야 하나요?" 한국 남성들이 결혼을 피하는 진짜 이유 (5) | 2025.08.24 |
---|---|
국민연금 '추납' 모르면 손해! 2025년에 해야 하는 결정적인 이유 (2) | 2025.08.24 |
서울 아파트값, 정말 괜찮을까? 도쿄, 상하이와 비교하니 드러난 '부동산 거품'의 민낯 (3) | 2025.08.24 |
[인구절벽 시대] 새로운 부의 법칙, 기회는 어디에 있을까? (전영수 교수 유튜브 강의 요약) (7) | 2025.08.24 |
[부동산 상식] '호랑이 관장' 양치승도 당했다… 10억 잃게 한 전세 사기의 전말 (0) | 2025.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