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요즘 부동산 시장에 대한 걱정이 많으시죠? "집값이 올라도 너무 올랐다"는 말이 곳곳에서 들려옵니다. 최근 한 유튜브 영상에서 서울, 특히 강남의 부동산 거품 문제를 도쿄, 상하이와 비교 분석한 내용이 화제가 되어 정리해 보았습니다.
과연 서울의 부동산 시장, 이대로 괜찮은 걸까요?
1. 3개 도시 아파트값 비교: 서울 강남, 압도적인 1위
영상의 시작은 충격적인 아파트값 비교였습니다. 각 도시의 부촌으로 꼽히는 지역의 30평대 아파트 가격을 비교했는데요.
- 🇰🇷 서울 강남: 30억 원
- 🇯🇵 도쿄 미나토구: 26억 원
- 🇨🇳 상하이 루자쭈이: 8억 5천만 원
강남의 아파트값이 도쿄 중심가보다 비싸고, 상하이와는 비교가 어려울 정도로 높은 수준이었습니다. 여기서부터 무언가 비정상적이라는 신호를 감지할 수 있죠.
2. 월급 한 푼 안 쓰고 모으면? 내 집 마련까지 '96년'
단순 가격 비교보다 더 현실적으로 와닿는 지표는 **소득 대비 집값 비율(PIR)**입니다. 연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았을 때 집을 사는 데 얼마나 걸리는지를 보여주는데요.
- 상하이 루자쭈이: 49년
- 도쿄 미나토구: 30년
- 서울 강남: 58년
서울 강남에서 내 집을 마련하려면 무려 58년간의 소득이 필요했습니다. 만약 압구정이나 반포의 50억짜리 아파트라면, 무려 96년 7개월이 걸린다는 계산이 나옵니다. 사실상 월급만으로는 구매가 불가능한 수준에 이른 것이죠.
3. 부자는 적은데 집값은 가장 비싼 '기현상'
더욱 흥미로운 점은 '진짜 부자'의 숫자입니다. 부동산을 제외한 순수 유동자산 100만 달러(약 13.8억 원) 이상을 보유한 인구를 비교해 보니 결과는 정반대였습니다.
- 도쿄: 292,300명
- 상하이: 110,500명
- 서울: 66,000명
서울은 도쿄의 1/4, 상하이의 절반 수준에 불과했습니다. 즉, 실질적인 구매력을 갖춘 부유층은 훨씬 적은데도 불구하고 부동산 가격만 비정상적으로 높게 형성되어 있다는 뜻입니다. 영상에서는 이를 '거품의 명백한 증거'라고 지적합니다.
4. 왜 서울 부동산 거품은 꺼지지 않을까?
영상에서는 거품이 계속 유지되는 이유를 몇 가지로 분석했습니다.
- 부동산 불패 신화: 특히 시장 붕괴를 경험하지 못한 30~40대의 굳건한 믿음
- 빚에 대한 불감증: 대출을 통해 집을 사는 것이 당연시되고, 오히려 수익을 가져다준다는 과거의 경험
- 대안 없는 정부 정책: 시장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보다는 규제 위주의 정책 남발
결론: 위기는 오는가? 우리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나
이 영상은 상업용 부동산부터 시작된 거품 붕괴 신호와 0%대 경제 성장률, 급등하는 월세 등 여러 위험 신호를 경고하며 막을 내립니다.
물론 미래를 100% 예측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대비'**입니다. 영상의 조언처럼, 현금 자산을 확보하며 시장의 변화를 주시하는 동시에, 인플레이션과 화폐 가치 하락에 대비한 실물 자산(부동산 등)에 대한 고민도 균형 있게 해나가야 할 시점인 것 같습니다.
이 글을 읽는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댓글로 자유롭게 의견을 나눠주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Rvo2ctzVzXc
'소셜 컬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연금 '추납' 모르면 손해! 2025년에 해야 하는 결정적인 이유 (2) | 2025.08.24 |
---|---|
인구 감소 시대, 10년 뒤에도 '살기 좋은 도시' TOP 10은 어디일까? (0) | 2025.08.24 |
[인구절벽 시대] 새로운 부의 법칙, 기회는 어디에 있을까? (전영수 교수 유튜브 강의 요약) (7) | 2025.08.24 |
[부동산 상식] '호랑이 관장' 양치승도 당했다… 10억 잃게 한 전세 사기의 전말 (0) | 2025.08.23 |
[자기계발] 머리 탓은 그만! 남들보다 3배 빨리 배우는 사람들의 비밀 습관 (2) | 2025.08.23 |